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등에서 소유한 자원을 가상화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중앙에서는 통합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기술이다.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 네트워크를 컴퓨터처럼 모델링하여 여러 사용자가 각각의 소프트웨어들로 네트워킹을 가상화하여
-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 : 데이터 센터의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 인력의 개입 없이,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관리 및 제어되는 데이터 센터이다.
-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 물리적인 데이터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여러 스토리지를 하나처럼 관리하거나, 하나의 스토리지를 여러 스토리지로 나눠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IOT
- 올조인 : 서로 다른 OS나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기기들이 표준화된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서로 통신 및 제어가 가능하다.
- 메시 네트워크 :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킹, 공공안전 등 특수 목적을 위한 네트워크이다.
- 수십에서 수천 개의 디바이스를 그물망과 같이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모든 구간을 동일한 무선망처럼 구성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피코넷 :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기반 HSM(cloud based Hardware Security Module) :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암호화 키의 생성 저장 처리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보안 기기, 클라우드에 인증서를 저장하므로 개별 기기에 인증서를 저장할 필요가 없다, 암호화 키 생성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sw적으로 구현된 암호 기술이 가지는 보안 취약점을 무시할 수 있다.
기타 용어
- Zing : 10cm이내 거리에서 초고속 NFC
- 파장 분할 다중화 : 광섬유를 이용해 여러 대의 단말기가 동시에 통신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SSO : 한번의 로그인으로 개인이 가입한 모든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 스마트 그리드 : 전력선을 기반으로 모든것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관리함 →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 메타버스 : 가상과 현실세계
네트워크 구축
- 성형
- 포인트 투 포인트 구조
- 중앙 컴퓨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