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멘토링 목적이 무엇인가요?
- 해외 취업(영미권)을 하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감을 못잡겠습니다.
- 멘토링에 도움이 될 정보를 작성해 주세요. (재직중인 회사, 수료한 교육, 작업 내용 등)
- 지금은 취준중이며, 두 번의 인턴을 진행했었습니다.
- Manchester UK에서 UOM 학생들과 프로젝트를 진행중입니다.
local restaurant들과 customer 간의 소통 문제에 집중한 서비스를 개발중입니다.
- 한국 정보통신 기술 협회에서 6개월동안 SW품질 인증 관련 인턴십을 진행했었습니다.
ISO/IEC, AAMI 등 보안 표준 문서를 참고하여 인공지능 의료기기 표준 제정 용역 업무를 수행했었습니다.
- Engstok회사(하드웨어 수리 업체)에서 2개월 동안 주문 접수 업무를 대신 하는 카카오 챗봇을 만들었습니다.(centOS 환경에서 nodejs 사용)
- 멘토에게 전하고 싶은 말
- 미국은 agency를 통해 취업을 알아보고 있습니다만, 현재 한국 j비자 발급 중단 때문에 인터뷰 요청 응답 대기 상태라 언제 재개될지 모르겠습니다.
- 때문에 영국으로의 취업도 고려중인데, 프로젝트할 겸 한달동안 영국을 방문할 계획입니다.
이 때 영국에서 커피챗 등을 통해 취업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개인적으로 Kubernetes를 사용해서 분산 서버 관련해서 진행한 프로젝트들이 있습니다. 멘토님 글에 distributed-computing에 대한 태그가 있는데, 이 분야의 장단점과 취직을 위해 어떤 스택을 보완해야 할지 등등 궁금합니다.
멘토링 정리
object storage 개발중 S3 같은거 애플 미디어쪽 고객들(pay, cloud 등)
cloudflare에 데이터를 보내는 업무를 했었다.
distributed key-value store했었다.
개인회사 = 큰 회사에 오면 넓게 보기 힘들다. 깊게 볼 수 있다.
되게 재밌고 좋았고 다양한 경험을 했다.
SRE, DEvops, App개발자들이 스타트업 시장이 출신으로 많이 있다.
운영이 잘 안되서 운영을 잘 하기 위한 오토메이션을 개발
패럴렐 프로그램과 dtd sys 와는 다르다
dtd sys = 가장 중요한거는 job의 분리, 효율적인 리소스 활용이다.
멀티 쓰레딩, 잡을 동시에 돌리는 것이다. 멀티 쓰레딩에서 가장 중요한건 동기화다.
concurrency 동기화 동시성 콘센서스 알고리즘 consistency
쿠버네티스가 죽었을 때를 대비해서 오케스트레이션도 이중화 해야한다.
몸값 높고 전망 좁고, 회사가 별로 없어서 이직이 좀 어렵다.
취직을 어떻게 하셨는지
SRE를 오퍼레이터로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google은 개발도 하고 운영도 한다.